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7

📊 상관분석 #2 – 상관계수의 종류 총정리 (Pearson, Spearman, Kendall, Point-Biserial) 2022.07.20 - [Main/통계] -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1 Correlation Coefficient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1 Correlation Coefficient1. Correlation (상관관계) : 한 변수가 다른 변수와 동시에 움직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통계적 지수 (a statistical term describing the degree to which two variables move in coordination with one another) - 두 변수 간 직선관kimtutor.tistory.com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은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통계 기법입.. 2022. 7. 20.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1 기본 개념 완벽 정리! 상관분석은 데이터를 다룰 때 자주 접하게 되는 통계 기법 중 하나입니다.하지만 막상 사용하려고 하면 “상관계수?”, “피어슨 vs 스피어만?”, “인과관계랑 다른 거야?” 같은 의문이 생기곤 하죠.이번 글에서는 상관관계의 개념부터 상관계수의 해석까지,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을 정리해드릴게요. 1️⃣ Correlation (상관관계)란?상관관계는 한 변수가 변화할 때, 다른 변수가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통계 지표입니다.즉, 두 변수가 동시에 움직이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상관관계는 선형적인 관계를 측정한다”→ 두 변수 간의 변화가 직선 형태로 함께 움직이는지를 보는 것예시:키가 클수록 몸무게도 증가한다 → 양(+)의 상관관계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수면 시간이 줄어든다 → 음(-)의 상.. 2022. 7. 20.
Biostatistics #4-1 (Describing Data: Variability) >> Although measures of central tendency are useful ways to summarize large sets of data, they do not tell the whole story. Specifically, not everyone is average. >> Many people may perform near average, but others demonstrate performance that is far above (or below) average. Put simply, people are different. >> We need to study diversity (differences that exist from one person to another) and c.. 2022. 3. 18.
Biostatistics #3 (Describing Data: Central Tendency 집중경향성) We need a method to summarize each group as a whole so that we can objectively describe how much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two groups. Central Tendency (집중 경향성) : 모집단이나 표본으로부터 얻어진 자료가 어떤 특정 값을 중심으로 분포를 형성하는 경향 (= 점수값이 어떤 식으로 분포되어 있는지) : a statistical measure to determine a single value that defines the center of a distribution. ==> The goal of central tendency is to find the single value tha.. 2022. 3. 16.
5. 용량-반응 곡선 (Dose-Response Curve)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3. 15.
4. 약동학(PK) vs. 약력학(PD) Pharmacokinetics(약동학): 약물에 대한 신체의 활동 body --> drug :: 약이 어떻게 퍼지고 대사되는가 (어떤 효과인지는 생각 X) 약의 용량과 체내의 약물 농도와의 관계를 설명함. 아래의 네가지 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 ADME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Excretion) Absorption (흡수): 약물이 피부, 장, 구강점막에 얼마나 흡수되는가에 대한 것. 생체에는 외부 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어하는 다양한 방어 기전(eg. 피부의 각질, 위장의 위산 등)이 있다. 이러한 체내 방어 기전을 통과해서 표적 기관에 도달한 약물의 총량을 생체내유용성(bioavailability)이라고 한다. 정맥 주사로 투여하는 약물의 경우 투여.. 2022. 3.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