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7

3. 약리학 용어들 Side Effect (부작용) 원하는 작용 이외의 모든 작용.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님. 예) 비아그라. 심혈관계 심장혈관 확장이 주작용으로 만들어진 약물이었지만 부작용으로 생식기의 혈관이 확장되면서 '발기'가 발생함. Adverse Effect (유해 작용), Toxic Effect (독작용): 부작용 중 건강을 해치는 작용 Misuse (오용): 약을 잘못 쓰는 것 예) 감기 환자에게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지만, 항생제를 처방하는 경우. Abuse (남용): 약을 필요치 않은 곳에 과하게 쓰는 것 예) 말기 암환자의 경우 치료가 잘 안되기 때문에,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eg. 몰핀, 헤로인), 일반 사람들에게는 이정도의 용량까지 필요하지 않지만,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 Resilienc.. 2022. 2. 28.
2. 약물의 4가지 명칭 1. 화학명: 구조식에 의한 명칭 예시) para-acetylaminophenol, 2-Acetoxybenzoic acid 2. 기호명 제약회사에서 신약 개발 단계에 주는 명칭 예시) MK801, L-759274 3. 일반명 (generic name) 독점권이 없는 약물의 명칭 예시) 4. 상품명 (proprietary name, brand name) 독점권이 있는 약물의 명칭 예시) Tyrenol(타이레놀), Aspirin(아스피린) 약물개발과정 약물을 만들 때, CH3 COOH (아세트산)을 바꿔 다른 약물을 만든다고 한다면, -H, -OH, -CH3 등등을 붙여 온갖 종류의 화학물질을 만든 후, 모두 테스트를 해서 가장 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좋은 물질을 골라내는 방식이다. 이때 화학명을 사용하면 너.. 2022. 2. 24.
1. 약리학(Pharmacology)이란? 약리학 (Pharmacology) 약물을 생체에 투여했을 때 그 약물로 인하여 일어나는 생체현상의 변동을 연구하고 나아가 질병의 진단,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합리적 약물 응용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 약물에 대한 학문 (약물과 약물의 투입에 따른 생체의 반응을 연구하는 생화학) a branch of science that deals with the study of drugs and their actions on living systems The study of how drugs work in the body, referred to as 'drug actions' = 약력학 (pharmacodynamic) + 약동학 (pharmacokinetics) + 약치학 (pharmacotherapeutics) + .... 2022. 2. 24.
📈 공변량(Covariate)과 공변량분석(ANCOVA)이란? 연구나 실험을 설계하고 분석할 때, 우리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둡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연구자가 의도한 독립변수 외에도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외부 요인, 즉 잡음인자(noise factor) 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잡음인자가 통제되지 않으면, 독립변수의 순수한 효과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집니다.이때,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연구의 주요 관심 대상은 아닌 변수들을 **공변량(covariate)**이라고 합니다. 🔍 공변량(Covariate)이란?공변량이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변수로서,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인 외생변수를 말합니다.즉,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할 때, .. 2022. 2. 22.
Biostatistics #2-3 (Rank & Percentile, 등수 & 백분위) Raw data by themselves are not very informative. Knowing the rank of an individual measurement with respect to the entire sample is more informative. The rank (등수) or percentile rank (백분위 등수) is the percentage of individuals with scores at or below the particular value. When a particular score is identified by its rank, we call it a percentile. Percentile: What score has this % or scores below i.. 2022. 2. 8.
Biostatistics #2-2 (Shape of Distribution, 분포의 모양)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Shape Central Tendency (where the center is located) --> skewedness Variability: how spread out the scores are) --> kurtosis Shape of a Frequency Distribution Normal Distribution (정규분포, = Gaussian Distribution) 도수분포곡선이 평균값을 중앙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종 모양 (bell curve)을 이루는 것 종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하나의 꼭지를 갖는 좌우 대칭적인 연속적 변인의 분포. Symmetrical and mathematically certain in mos.. 2022. 2. 5.
728x90
반응형